?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하 29:01-19 흑암을 연 성전: 히스기야의 확고한 신앙 의지와 성결을 통한 회복의 첫걸음

*

유다 왕 히스기야는 그의 아버지 아하스가 행했던 극심한 배역과 우상숭배를 청산하기 위해, 즉위 첫 해 첫 달에 다윗의 모든 행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기를 결단했습니다. 그는 가장 먼저 여호와의 전 문들을 열고 수리했으며,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모아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성전에 침투한 모든 더러운 것을 제거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조상들의 죄악(성전 문을 닫고 예배를 중단함)이 유다에 임한 진노와 재앙(칼, 사로잡힘)의 근본 원인임을 분명히 진단하고, 하나님의 진노를 돌이키기 위해 새로운 언약을 세울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에 레위인들이 적극적으로 순종하여, 제사장들과 함께 16일 동안 성전 안팎의 모든 더러운 것과 아하스가 버렸던 성전 기구들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

# 1-5절 의로운 왕의 결단과 성전 회복의 시작

하나님은 당신과의 바른 관계 정립을 리더십의 시작점으로 삼으시며, 죄악의 어둠을 걷어낼 확고한 신앙 의지를 가진 지도자를 통해 시대를 회복시키시는 주권적인 분이십니다.
.

히스기야는 25세에 왕위에 올라 29년간 통치했으며,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행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한 왕으로 평가됩니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첫째 해 첫째 달에 여호와의 전 문들을 열고 수리하는 개혁을 시작했습니다. 이어서 제사장과 레위 사람들을 동쪽 광장에 모아, 그들에게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의 전을 성결하게 하여 성소에서 더러운 것을 제거하라고 명령했습니다.
.

히스기야의 통치는 그의 아버지 아하스가 행했던 악한 길(28장)과 정반대되는 정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역대기 저자가 히스기야를 '다윗의 모든 행실과 같이' 행했다고 극찬한 것은, 그가 솔로몬 이후 유다의 왕들 중 가장 성공적으로 통치한 왕임을 암시합니다. 히스기야의 개혁이 '첫째 해 첫째 달'에 시작된 것은 그의 확고한 신앙 의지와 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합니다. 아하스가 닫았던 성전 문을 여는 행위는 영적 쇠퇴 상태에 있던 왕국에 새로운 통치자의 새로운 정신을 상징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결'에 대한 명령이었습니다. 히스기야는 외적인 성전 청소보다 제사장과 레위인의 내적인 정결(성결하게 하다)을 우선했습니다. 이는 사역을 수행하는 자들이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섬길 수 있도록 먼저 성별되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 원리는 신약에서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인이 거룩한 성전이 되었음을 가르치는 것과 연결됩니다. 영적 봉사에 앞서 개인적인 거룩함이 필수적입니다.

.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중심의 확고한 신앙 의지가 필요합니다. 우리의 리더십은 인간적인 방법이나 계획에 의존하기 전에, 자신과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를 점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개인과 공동체가 새로워지려면, 외부적인 활동 이전에 성결을 최우선으로 삼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을 예배하며 그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

# 6-11절 과거 죄악에 대한 냉철한 진단과 언약 갱신의 요청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이 언약을 버리고 예배를 중단했을 때 임한 징계와 진노를 숨기지 않으시고, 회복의 비전을 제시하며 헌신을 요청하시는 은혜로우시되 공의로우신 심판자이십니다.
.

히스기야는 조상들이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고 하나님을 버렸으며, 여호와의 성소를 등지고 낭실 문을 닫고 등불을 끄고 분향과 번제를 드리지 아니했다고 고발했습니다. 이러한 행동들로 인해 여호와께서 유다와 예루살렘에 진노하셨고, 그 결과 조상들이 칼에 엎드러지고 자녀와 아내들이 사로잡혔으며, 유다가 두려움과 놀람과 비웃음거리가 되었다고 진단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이 맹렬한 노를 떠나게 할 마음으로 여호와와 더불어 언약을 세우자고 요청하면서, 레위인들에게 게으르지 말고 (not negligent) 하나님 앞에 서서 수종들라는 직무를 상기시켰습니다.
.

히스기야는 유다의 곤경이 아하스의 우상숭배와 성전 예배 중단에서 비롯된 언약적 저주(징계)임을 분명히 인식했습니다. 아하스가 성전 문을 닫은 행위(28:24)는 여호와 제의의 중단이자, 하나님께 대한 심각한 범죄(마알)였습니다. 유다가 겪은 곤경은 바벨론 정복 후 예레미야가 언급했던 상황과 유사하며, 이는 아하스 당시를 일종의 포로 상태로 간주했음을 보여줍니다.
히스기야의 언약 갱신 요구는 유다 공동체가 처한 현실에 대한 응답이자, 무너진 신앙을 재건하는 첩경이었습니다. 그는 레위인들을 '내 아들들아'라고 부르며, 그들의 책임이 하나님 앞에 수종들며 분향하는 것임을 상기시킵니다. 이것은 게으르지 말라는 권고와 연결되는데, 예배와 직무에 대한 헌신(충성) 요청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선지자를 통해 심판 전에 회개하라고 촉구하시듯이, 히스기야를 통해 진노를 피하고 회복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셨습니다.

.

공동체 혁신을 위해서는 과거의 잘못에 대한 철저한 반성냉철한 현실 진단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공동체가 겪는 위기를 단지 경제적, 정치적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버리고 성소를 등진(예배를 소홀히 한) 영적 죄악에서 비롯된 진노의 결과일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고 하나님을 향한 충성심을 흐트러뜨리는 세상의 가치관(우상)이 없는지 성찰하며, 그리스도를 통해 얻은 새 언약의 말씀을 통해 매일 우리 자신을 갱신해야 합니다.

*

# 12-19절 레위인의 순종과 성전의 철저한 정화

하나님은 당신의 거룩한 질서를 회복하는 일에, 말씀을 따라 기꺼이 순종하며 조직적으로 협력하는 자들을 통해 은혜를 기대하게 하시는 질서와 거룩의 하나님이십니다.

.

히스기야 왕의 명령이 떨어지자, 레위 사람들이 곧바로 일어나 자신들의 형제들을 모아 성결하게 한 후, 여호와의 말씀대로 명한 것을 따라 여호와의 전을 깨끗하게 하기 시작했습니다. 제사장들은 여호와의 전 안에 들어가서 모든 더러운 것을 여호와의 전 뜰로 끌어냈고, 레위 사람들은 그것을 받아 성전 바깥 기드론 시내로 가져다 버렸습니다. 이 정화 작업은 첫째 달 초하루에 시작하여 8일 동안 낭실에 이르렀고, 총 16일 만에 마쳤습니다. 그들은 성전 안의 모든 것과 아하스 왕이 버렸던 모든 기구(성물)들을 정돈하고 성결하게 하여 여호와의 제단 앞에 두었다고 왕에게 보고했습니다.
.

레위인들이 왕의 명령에 적극적으로 순종한 것은,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책임 있는 참여가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이 정화 작업은 조직적 협력의 모범이었습니다. 제사장들은 전 안에서, 레위 사람들은 전 밖(뜰)에서 일했는데, 이는 하나님이 정하신 직무의 구별이자, 이들의 협력 없이는 성전 회복이 불가능함을 의미합니다. 사역 장소는 달라도 모두 하나님의 일입니다.
이 정화 과정은 철저하고 체계적이었는데, 단지 성전 건물을 청소하는 것을 넘어, 우상 숭배의 잔재(더러운 것)와 아하스가 버렸던 성전 기구들을 깨끗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기구들의 회복 작업은 예배의 회복에 필수적이었습니다. 채우기 위해서는 먼저 비워야 한다는 원칙이 이 정화 과정에서 명확히 드러납니다. 우상을 없앰으로써 성전을 정결하게 하는 것은 회복의 핵심이었습니다. 포로 귀환 공동체에게 이 역사는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신앙을 재건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

우리는 하나님이 정하신 직무와 질서 (가정, 교회, 사회의 역할) 안에서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우리의 역할이 눈에 띄지 않는 '레위인'의 일이든, 거룩한 '제사장'의 일이든, 모든 일은 하나님 앞에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맡겨진 사역에 게으르지 말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개혁은 영성에만 해당하지 않고 관리, 재정, 구제 등 공동체의 모든 영역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우리가 주님께 나아가는 예배와 헌신이 형식적인 모습이 아닌, 철저히 정결하고 성별된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합니다.

*

# 거둠의 기도

전능하시고 공의로우신 하나님 아버지, 

아하스의 흑암을 걷어내고 즉시 성전 문을 열었던 

히스기야의 확고한 신앙 의지를 주옵소서. 

저희가 세상의 거짓된 가치관과 타협하여 

주님과의 언약을 버렸던 조상들의 어리석음을 반복하지 않게 하옵소서. 

외적인 활동 이전에 스스로를 성결하게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아 거룩한 삶을 살게 하옵소서. 

주님의 진노를 돌이키고 회복을 얻기 위해, 

저희 삶의 모든 영역에서 

우상과 더러운 것을 철저히 제거하는 용기를 주시옵소서. 

제사장과 레위인의 협력처럼, 

공동체 안에서 저희의 역할에 충실하여 

주님의 거룩한 질서를 세우는 데 기꺼이 헌신하게 하옵소서. 

주님을 찾는 전심의 헌신만이 

저희의 유일한 구원과 형통의 근원임을 믿고, 

끝까지 겸손히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게 하옵소서. 아멘.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6 역대하 30:01-12 흩어진 자녀들을 위한 아버지의 식탁: 유월절 초대의 복음 평화의길벗 2025.10.21 0
875 역대하 29:20-36 재봉헌된 예배, 기쁨으로 충만합니다 : 하나님이 예비하신 회복 평화의길벗 2025.10.19 0
» 역대하 29:01-19 흑암을 연 성전: 히스기야의 확고한 신앙 의지와 성결을 통한 회복의 첫걸음 평화의길벗 2025.10.18 2
873 역대하 28:16-27 곤고함 속의 악행: 은혜를 잊고 심판을 자초한 왕의 배역과 비참한 최후 평화의길벗 2025.10.17 4
872 역대하 26:01-23 묵시를 찾을 때의 형통, 강성함 이후의 교만과 몰락 평화의길벗 2025.10.16 4
871 역대하 25:14-28 승리 후의 교만과 배역, 그리고 공의로운 심판의 결과 평화의길벗 2025.10.15 2
870 역대하 25:01-13 온전치 않은 마음의 순종과 하나님의 계산법 평화의길벗 2025.10.14 4
869 역대하 24:17-27 은혜를 잊은 왕의 배역, 선지자의 피 그리고 공의로운 심판 평화의길벗 2025.10.12 4
868 역대하 23:16-24:16 언약 갱신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재건과 신실한 지도자의 영광 평화의길벗 2025.10.11 4
867 역대하 23:01-15 언약의 씨앗을 지키는 용기 있는 거사(擧事)와 왕권의 회복 평화의길벗 2025.10.11 7
866 역대하 22:01-12 악한 연합의 파멸과 언약의 등불을 지키시는 하나님의 섭리 평화의길벗 2025.10.10 6
865 역대하 21:02-20 언약을 저버린 왕, 비참한 말로와 신실하신 하나님의 등불 평화의길벗 2025.10.10 2
864 역대하 20:20-21:1 신뢰의 전쟁, 찬양의 승리, 그리고 언약 안의 왕권 평화의길벗 2025.10.08 6
863 역대하 20:01-19 오직 주만 바라볼 때, 승리를 보게 하시는 싸움의 용사 하나님 평화의길벗 2025.10.08 7
862 역대하 18:28-19:11 심판 속 주권적 구원과 왕의 회개 : 여호와께 돌아와 공의를 세우는 길 평화의길벗 2025.10.08 6
861 역대하 18:01-27 악한 연합과 진노의 예언 : 하나님 나라 백성이 피해야 할 미혹의 길 평화의길벗 2025.10.04 7
860 역대하 17:01-19 여호와의 길을 걷는 왕과 말씀으로 견고케 되는 나라 평화의길벗 2025.10.04 9
859 역대하 16:1-14 지속적인 신뢰를 저버린 왕의 추락과 공의로운 심판 평화의길벗 2025.10.04 6
858 역대하 15:01-19 하나님을 전심으로 찾으면 반드시 만나 주시고, 언약적 평안으로 보상하시는 신실하신 하나님 평화의길벗 2025.10.01 6
857 역대하 14:2-15 하나님을 전심으로 찾는 자에게 주시는 개혁의 축복과 기적적인 구원 평화의길벗 2025.09.30 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4 Next
/ 4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