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가랴서 묵상 가이드 : 절망의 현실에서 영원의 소망을 보다

스가랴서는 요한계시록과 더불어 구약의 묵시문학으로 불릴 만큼 난해하게 느껴지는 책입니다. 상징과 환상이 가득하여 처음 펼쳐든 독자를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스가랴서는 절망적인 현실을 살아가던 하나님의 백성에게 가장 강력한 위로와 소망을 선포했던 말씀의 보고(寶庫)이며, 신약의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예수 그리스도를 가장 풍성하고 선명하게 보여주는 예언의 파노라마입니다. 매일성경을 통해 스가랴서를 묵상하는 여정을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이 책의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하고 더 깊은 은혜를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안내글을 드립니다. <매일성경> 112페이지의 도움글도 참고하세요. 

*

1. 시대적 배경: 무너진 자존감 위에 선 성전 공동체

스가랴서의 시간적 배경은 주전 520년, 페르시아의 다리오 왕 제2년입니다. 바벨론 포로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지(주전 538년) 약 18년이 흐른 시점입니다. 70년의 포로 생활을 마치고 돌아올 때만 해도 그들은 제2의 출애굽과 같은 벅찬 감격과 기대를 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했습니다. 그들이 마주한 예루살렘은 폐허가 된 성전과 무너진 성벽뿐이었습니다. 사마리아인들의 집요한 방해와 경제적인 어려움, 그리고 무엇보다 이사야와 예레미야가 예언했던 영광스러운 회복이 보이지 않는 현실 앞에서 그들의 감격은 실망으로, 열정은 무기력으로 바뀌었습니다.

성전 건축은 기초만 놓인 채 16년간이나 중단되었습니다. 백성들은 "여호와의 전을 건축할 시기가 이르지 아니하였다"(학 1:2)고 말하며, 각자 자기 집을 짓는 데만 몰두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스가랴와 동시대에 활동했던 선지자 학개가 지적한 문제였습니다. 백성들은 영적, 심리적으로 깊은 침체에 빠져 있었습니다. 스가랴서는 바로 이처럼 절망과 패배감에 젖어 있는 공동체를 향한 하나님의 응답입니다.

*

2. 소선지서의 동역자: 학개와 스가랴

소선지서를 읽을 때 학개와 스가랴는 마치 한 쌍의 동역자처럼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두 선지자는 같은 시대, 같은 공동체를 향해 메시지를 전했지만 역할과 강조점이 달랐습니다.

  • 학개 (Haggai) : '실천적 동기부여자'입니다. 그의 메시지는 간결하고 직설적입니다. "성전을 건축하라! 지금 당장!" 학개는 백성들의 영적 무관심과 물질주의를 질책하며, 성전 재건이라는 시급한 과업에 착수하도록 강력하게 촉구했습니다. 그는 성전 재건이 하나님의 임재와 축복을 회복하는 출발점임을 강조했습니다. 학개가 공사의 '시작'을 알리는 기공 나팔수였다면,

  • 스가랴 (Zechariah) : '신학적 비전 제시자'입니다. 스가랴는 학개의 메시지를 이어받아 그 성전 재건이 갖는 신학적 의미와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지를 환상을 통해 보여줍니다. 그는 단순히 벽돌을 쌓는 행위를 넘어, 그 성전을 중심으로 펼쳐질 하나님의 거대한 구원 계획과 종말론적 영광을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입니다. 스가랴는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설계자였습니다.

학개가 발을 땅에 굳게 딛고 현실의 순종을 외쳤다면, 스가랴는 눈을 들어 하늘을 보게 하며 영원한 소망을 품게 했습니다. 이 두 날개가 있었기에, 이스라엘은 무기력에서 벗어나 다시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

*

3. 스가랴서의 핵심 내용과 구조

스가랴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전반부(1-8장)는 현재의 성전 재건을 독려하는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이며, 후반부(9-14장)는 미래에 오실 메시아와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다루는 종말론적 예언입니다.

  • 1부: 여덟 가지 환상과 격려 (1-8장)
    주전 520년에서 518년 사이에 주어진 메시지입니다. 스가랴는 여덟 가지 환상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이 환상들은
    ① 하나님께서 온 땅을 통치하고 계시며(화석류나무 사이의 기마병),
    ② 이스라엘을 억압했던 세력은 반드시 심판받고(네 뿔과 네 대장장이),
    ③ 예루살렘은 성벽을 넘어 확장될 만큼 크게 회복될 것이며(측량줄),
    ④ 죄로 더러워진 대제사장(백성의 대표)은 용서받고 정결하게 되며(대제사장 여호수아),
    ⑤ 인간의 힘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영으로(성령으로) 성전이 완성될 것이고(순금 등잔대와 두 감람나무),
    ⑥ 죄악은 공동체에서 반드시 제거될 것이며(날아가는 두루마리, 에바 속의 여인),
    ⑦ 하나님의 계획은 온 땅 가운데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음(네 병거)을 보여줍니다.
    이 환상들은 땅의 현실에 매몰된 백성들의 시야를 하늘의 관점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7-8장은 참된 경건이 금식이라는 종교 행위가 아니라, '정의와 인애, 긍휼과 진실'이라는 윤리적 삶에 있음을 가르칩니다.

+

  • 2부: 메시아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두 가지 예언 (9-14장)
    시간적 배경이 명확하지 않은 두 개의 큰 신탁(神託, Oracle)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첫 번째 신탁(9-11장) : 겸손히 나귀를 타고 오시는 메시아 왕(9:9), 좋은 목자이신 그가 자기 백성에게 배척당하고 은 삼십에 팔리실 것에 대한 예언(11장)이 나옵니다.

    • 두 번째 신탁(12-14장) : 백성들이 자신들이 '찌른 그'(12:10)를 보고 애통하며,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열릴 것(13:1)을 예언합니다. 마지막 날에 있을 거룩한 전쟁과, 그 후에 만물이 새로워져 모든 것이 "여호와께 성결"하게 되는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인 승리와 완성을 보여줍니다.

*

4. 핵심 묵상 포인트와 윤리적 교훈

스가랴서를 묵상할 때 다음의 주제들을 붙들면 더 깊은 은혜를 누릴 수 있습니다.

  1. "내게로 돌아오라" (회개) : 스가랴서의 시작(1:3)이자 핵심 메시지입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돌아옴'(히브리어 '슈브')은 단순히 종교의식으로의 복귀가 아닙니다. 그것은 '악한 길과 악한 행위'를 떠나는 전인격적인 방향 전환입니다(1:4). 특히 7장에서 하나님은 정의를 행하지 않고 약자(고아, 과부, 나그네)를 압제하면서 드리는 금식은 위선이라고 질책하십니다. 진정한 경건은 하나님의 성품인 '인애와 긍휼'(헤세드)을 삶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2. "만군의 여호와" (주권): 스가랴서에 50번 이상 반복되는 하나님의 이름입니다. 이는 온 우주와 역사의 주관자가 바로 하나님이심을 선포하는 이름입니다. 강대국 페르시아 아래서 미약한 존재로 살아가던 백성들에게, "세상의 진짜 왕은 다리오가 아니라 만군의 여호와이시며, 그분이 너희와 함께 하신다"는 메시지는 가장 큰 위로와 용기의 근원이었습니다.

  3.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영으로 되느니라" (성령) : 성전 재건이라는 거대한 과업 앞에서 인간적인 계산과 힘으로 절망하던 스룹바벨에게 주신 말씀입니다(4:6). 하나님의 일은 인간의 역량(might)이나 군사력(power)이 아닌, 오직 성령의 능력으로만 성취됨을 가르칩니다. 이는 시대를 넘어 모든 하나님의 백성이 붙들어야 할 사역의 원리입니다.

*

5. 신약과의 연관성: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

스가랴서는 '구약의 요한계시록'인 동시에 '구약의 복음서'라 불릴 만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으로 가득합니다. 신약 저자들은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 속에서 스가랴의 예언이 성취되는 것을 목격하고 증언했습니다.

  • 겸손한 왕의 입성 :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나귀를 탔나니"(슥 9:9) -> 종려 주일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 (마 21:4-5)

  • 은 삼십의 배신 : "그들이 곧 은 삼십 개를 달아서 내 품삯을 삼은지라"(슥 11:12) -> 가룟 유다의 배신 (마 26:15, 27:9-10)

  • 흩어지는 제자들 : "목자를 치면 양이 흩어지려니와"(슥 13:7) -> 겟세마네 동산에서 제자들이 흩어짐 (마 26:31)

  • 십자가에서 찔리심 : "그들이 그 찌른 바 그를 바라보고"(슥 12:10) -> 예수님의 옆구리가 창에 찔림 (요 19:37)

  • 죄를 씻는 샘 :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열리리라"(슥 13:1) ->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이 모든 죄를 씻는 구원의 샘이 됨 (요일 1:7)

이처럼 스가랴서는 성전 재건이라는 당대의 역사적 과제를 넘어, 참 성전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될 하나님 나라의 영광스러운 미래를 바라보게 합니다.

스가랴서를 묵상하며, 우리는 눈앞의 문제에 함몰되지 않고 역사를 주관하시는 '만군의 여호와'를 신뢰하는 법을 배울 것입니다. 우리의 힘이 아닌 성령의 능력을 의지하여 거룩한 삶을 세워가도록 도전을 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모든 예언의 성취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더 깊이 만나고, 그분이 다시 오셔서 완성하실 영광스러운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며 오늘을 믿음으로 살아갈 힘을 얻게 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9 스가랴 11:01-17 선한 목자를 버린 양 떼의 비극 new 평화의길벗 2025.08.17 0
808 스가랴 10:01-12 은혜를 위한 고난 : 목자를 잃은 양들을 찾으시는 하나님 평화의길벗 2025.08.16 0
807 스가랴 09:09-17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평화의길벗 2025.08.15 3
806 스가랴 09:01-08 안전한 곳에 거하는 지혜 평화의길벗 2025.08.14 2
805 스가랴 08:14-23 금식이 기쁨의 절기로 : 슬픔이 변하여 기쁨의 춤이 될 때 평화의길벗 2025.08.13 4
804 스가랴 08:01-13 손을 견고히 할지니라 : 절망의 땅에 희망을 심는 손 평화의길벗 2025.08.12 5
803 스가랴 07:01-14 참된 금식 :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금식 평화의길벗 2025.08.11 7
802 스갸랴 06:01-15 새 시대의 여명 : 왕 같은 제사장의 대관식 평화의길벗 2025.08.10 11
801 스가야 05:01-11 성전보다 성결이 먼저다 평화의길벗 2025.08.10 11
800 스가랴 04:01-14 오직 하나님의 영으로 : 꺼지지 않는 등불, 마르지 않는 기름 평화의길벗 2025.08.09 6
799 스가랴 03:01-10 용서하고 회복시키는 은혜 : 은혜의 법정, 더러운 옷을 벗고 새 옷을 입다 평화의길벗 2025.08.07 6
798 스가랴 02:01-13 불로 둘러싼 성곽 : 성벽 없는 도시, 경계 없는 은혜 평화의길벗 2025.08.06 13
797 스가랴 01:07-21 하나님의 질투와 긍휼 : 세상의 평안 너머, 하나님의 열심 평화의길벗 2025.08.05 5
796 스가랴 01:01-06 내게로 돌아오라. 평화의길벗 2025.08.04 8
» 스가랴서 묵상 가이드 평화의길벗 2025.08.04 13
794 요한계시록 결론 평화의길벗 2025.08.04 10
793 요한계시록 22:06-21 보라 내가 진실로 속히 오리니 : 마지막 약속을 붙들고 사는 교회 평화의길벗 2025.08.03 17
792 요한계시록 21:22-22:05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 3 : 에덴의 완성 - 하나님과 어린 양이 모든 것이 되시다 평화의길벗 2025.08.02 16
791 요한계시록 21:09-21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 2 : 어린 양의 아내, 새 예루살렘의 영광 평화의길벗 2025.08.02 15
790 요한계시록 21:01-08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 1 :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평화의길벗 2025.07.31 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 Next
/ 4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