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 4:01-17 하나님의 섭리 앞에 결단하라
*
페르시아 왕국 내 모든 유다인을 진멸하겠다는 조서가 내려지자 모르드개는 굵은 베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며 대성통곡하였고, 유다인들 역시 금식하며 애통해했습니다. 모르드개는 왕후 에스더에게 유다 백성을 위해 왕 앞에 나아가 간청할 것을 요청합니다. 그러나 왕의 부름 없이 왕 앞에 나가는 것은 죽음을 각오해야 하는 일이었기에 에스더는 처음에 주저합니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이때를 위해 왕후의 자리에 오른 것이라 말하며 결단을 촉구합니다. 이에 에스더는 "죽으면 죽으리라"는 각오로 금식 기도를 요청하며 왕 앞에 나아가기로 결심합니다.
*
# 에스더 서의 묵상 키워드 : 부림, 숨어계신 하나님, 평범한 이들의 하나님, 정체성, 죽으면 죽으리라(매일성경)
*
# 1-3절 하나님은 민족의 위기 가운데서 간절한 기도와 금식으로 당신의 백성을 부르십니다.
모르드개는 유다인 진멸의 위기를 알고 즉시 굵은 베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며 성중에서 대성통곡합니다. 전국 각지의 유다인들도 왕의 조서를 받고 금식하며 부르짖습니다(에 4:1-3).
모르드개와 유다인의 금식은 단순한 슬픔의 표현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신들의 절박함과 무력함을 인정하고 간구하는 영적 행위였습니다. 이는 민족 전체가 하나님의 은혜와 개입 없이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욜 2:12-13, 에스라 8:21).
오늘 우리 역시 개인적, 사회적 위기 앞에서 슬퍼하고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겸손히 자신을 낮추고 기도하며 간절히 금식하는 믿음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
# 4-9절 하나님은 우리를 높은 자리에 두신 이유가 있습니다.
모르드개가 처한 상황을 전해 들은 에스더는 놀라며 이유를 묻고, 모르드개는 하만이 꾸민 유다인 진멸 계획과 그 증거를 에스더에게 전달하며 왕 앞에 나가 민족을 구원할 것을 요청합니다(에 4:4-8). 모르드개의 요청은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에 오른 것이 단순한 개인의 영광이나 우연한 행운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적 계획 아래 이루어진 일임을 암시합니다(창 45:5, 에 4:14).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신 자리와 직분은 개인적 성공이 아니라, 공동체를 섬기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자리임을 기억하며 충성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
# 10-14절 하나님은 침묵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믿음의 사람을 통해 일하십니다.
에스더는 왕에게 부름 받지 않고 나가는 것이 곧 죽음을 의미할 수 있다는 현실적 어려움을 설명합니다. 모르드개는 만약 에스더가 침묵하면 유다인들은 다른 방법으로 구원을 얻겠지만 에스더 자신과 그 가정은 망할 것이며,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에 오른 이유가 바로 이 순간을 위함일 수 있다고 도전합니다(에 4:10-14).
모르드개는 하나님의 섭리를 확신하며 에스더의 개인적 결단과 헌신을 촉구합니다. 이때의 선택이 바로 하나님의 계획과 연결된다는 믿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에 4:14).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하실 때, 두려움과 현실적 장애를 극복하고 적극적인 믿음의 결단으로 응답해야 합니다. 우리가 놓인 상황은 바로 하나님의 역사에 동참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
# 15-17절 주제: 하나님 앞에 드리는 결단과 헌신은 반드시 열매를 맺습니다.
에스더는 결국 자신의 목숨을 걸고 왕 앞에 나가기로 결심하며, 유다 백성들에게도 함께 금식 기도를 부탁합니다(에 4:15-17).
"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에스더의 결심은 자신의 목숨조차 아끼지 않는 온전한 헌신을 의미하며, 이는 신앙의 진정한 용기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체성을 나타내는 고백입니다(빌 1:21, 단 3:16-18). 오늘 우리도 하나님 앞에서 "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믿음의 고백을 가지고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우리의 헌신이 작더라도 하나님께서는 그것을 통해 놀라운 역사를 이루십니다.
*
# 거둠의 기도
하나님,
우리를 세우신 자리마다
당신의 섭리가 있음을 믿게 하시고,
두려움 없이 당신의 뜻에 헌신하며 순종하게 하소서.
"죽으면 죽으리이다"라고 고백하며
헌신할 수 있는 용기를 주시고,
우리 삶의 위기 가운데서 당신의 능력을 경험하게 하소서.